1. 원유 도입




1-1. 원유 도입 process

원유 시장에서는 선적 계획 및 용선의 필요성에 따라 3개월 후 공정에 투입되는 원유가 사전에 거래됩니다.
이에 따라 수급/생산계획은 사전에 산정이 필요합니다.

EX) 중동 원유 도입 절차

image.png



1-2. Benchmark Crude

원유 구매가격은 세계 권역 별로 원유 거래의 지표를 사용하며, WTI, Brent, Dubai가 대표 원유(Benchmark Crude)로 사용됩니다.

대표적 Benchmark Crude

image.png


지역 구분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 하는 원유가 존재하며 해당 지역 원유들은 대체로 기준 원유가격에 + 혹은 – 로 거래됩니다


Benchmark Crude

image.png



1-3. 원유 도입 선박의 종류

원유 이송을 위한 선박은 Size 에 따라 5가지로 분류되며 각 국 선적항에 입항 가능한 Size 는 상이합니다. 일반적으로 선박이 커질 수록 운임 단가는 낮아집니다.

선박 종류

image.png

* VLCC : Very Large Crude Carrier
** ULCC : Ultra Large Crude Carrier

원유는 크게 API 와 황 함량에 따라 구분되며 그 성상에 따라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. 경질하거나 황 함량이 적을 수록 원유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.



1-4. 원유 분류


API 및 황분에 따른 분류

image.png

원유는 공장 북서쪽 약 5.3km 해상에 설치된 원유선 계류 시설 (SPM)의 수상 호스를 유조선과 연결한 후, 해저 및 육상 배관을 통하여 13기(HDO 10 / KNOC 3)의 원유 탱크로 이송됩니다. 원유 200만 배럴 하역 시 약 45 시간 소요됩니다. (접/이안 포함 시 48시간)


1-5. 원유 도입 시설


원유 도입 시설

image.png